본문 바로가기
아이와부모함께성장

7살 아이 사회성, 친구 못 사귀는 우리 아이 괜찮을까요?

by 슬기로운아빠생활 2025. 5. 12.

7살 아이 사회성, 친구 못 사귀는 우리 아이 괜찮을까요?

 

“오늘도 혼자 놀았대요.” 유치원에서 돌아온 7살 아이의 가방을 열며, 엄마는 괜히 마음이 무거워집니다.

 

다른 아이들은 삼삼오오 몰려다니며 웃고 떠드는데

우리 아이는 늘 한쪽에서 혼자 앉아 조용히 노는 것 같다고 선생님이 말해줬습니다.

 

이 시기 아이가 친구를 잘 못 사귄다고 하면 부모로서는 걱정이 앞섭니다.

 

“사회성이 부족한 건 아닐까?”, “성격이 문제일까?”, “혹시 왕따일까?”

그런데 정말, 7살 아이가 친구를 잘 못 사귀는 건 문제가 되는 걸까요?


7살, 사회성 발달의 분기점

7세는 유아기에서 아동기로 전환되는 시기입니다.

이전까지의 '병아리형 친구놀이'에서 벗어나, 자율성과 역할 의식이 생기는 때죠.

 

함께 놀기보다 ‘나와 맞는 아이와의 관계’를 더 중요시하게 여깁니다.

따라서 친구를 사귀기 어렵다거나 혼자 놀고 싶어 하는 모습이 항상 사회성 부족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중요한 건, 지속적인 거절, 위축, 고립의 반복 여부입니다.


사회성이 부족한 걸까? 점검 포인트 5가지

7살 아이 사회성, 친구 못 사귀는 우리 아이 괜찮을까요?

 

✔️ 1. 또래와 눈 맞춤이나 인사에 어려움이 있나요?

기본적인 상호작용을 어려워한다면, 사회적 관계 형성에 부담을 느끼고 있을 수 있습니다.

✔️ 2. 놀이 규칙을 지키거나 기다리는 걸 힘들어하나요?

사회성은 단순한 친화력이 아니라, ‘기다림’과 ‘배려’의 실천력입니다.

✔️ 3. 거절을 극도로 민감하게 받아들이나요?

“같이 놀자” 거절에 과하게 위축되거나 분노하면, 감정 조절의 사회적 어려움이 반영된 것일 수 있습니다.

✔️ 4. 대화를 이어가는 능력이 부족한가요?

질문에 단답하거나, 자신의 말만 하는 경우, 소통의 양방향 구조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 5. 혼자 있는 시간이 지나치게 길거나 반복되나요?

자발적 고립인지, 타의에 의한 고립인지를 구분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부모가 할 수 있는 사회성 향상 실천법

7살 아이 사회성, 친구 못 사귀는 우리 아이 괜찮을까요?

 

📌 1. 아이의 사회성 ‘성향’ 인정하기

모든 아이가 외향적일 필요는 없습니다.

내향적인 아이도 충분히 관계를 맺고, 사회성을 기를 수 있습니다. 먼저 아이의 기질을 수용하는 자세가 기본입니다.

📌 2. 놀이 속 역할극 유도하기

인형놀이, 상황극 등을 통해 감정 공감과 상대 입장 이해를 훈련하세요. 역할 바꾸기는 아주 효과적인 사회성 훈련 방법입니다.

📌 3. 하루 10분, 감정 대화 시간 만들기

“오늘 어떤 일이 가장 좋았어?” “친구랑 뭐하고 놀았어?”

이렇게 사회적 경험을 되짚는 질문으로 감정 해석과 표현을 도와주세요.

📌 4. 또래 활동에 간접 참여 기회 주기

학원, 그룹 수업, 놀이터 같은 환경은 강요가 아닌 노출의 장입니다.

단, 처음에는 관찰자 위치를 허용해 주세요. 천천히 참여하는 스타일도 많습니다.

📌 5. 부모가 모델이 되기

사회성은 보는 만큼 배웁니다.

부모가 인사하고, 공감하고, 배려하는 모습을 일상에서 자연스럽게 보여주는 것이 최고의 교육입니다.


“혼자 놀아요”는 반드시 나쁜 것이 아닙니다

7살 아이 사회성, 친구 못 사귀는 우리 아이 괜찮을까요?

 

어떤 아이는 혼자 노는 것을 좋아합니다.

그리고 혼자서도 충분히 즐거운 시간을 보내는 능력도 중요한 역량입니다.

 

단, 그 속에 “나는 소외당하고 있어”라는 감정이 있다면, 그건 도와줘야 할 신호입니다.

사회성은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배우는 것입니다.

 

오늘 함께 공감하고, 한 번 더 말을 걸고, 작은 놀이 하나를 같이 해보는 것. 그것이 사회성을 기르는 시작입니다.


오늘부터 실천할 수 있는 행동 4가지

  • 🤝 놀이 중 “내가 ○○ 역할 해볼게!” 말하며 역할 바꾸기 시도
  • 💬 잠들기 전, 오늘 만난 사람 이야기 나누기
  • 📚 감정이나 관계 관련 그림책 함께 읽기
  • 🎯 주말에 또래와 함께할 수 있는 환경 1회 노출 시키기

부모의 작은 노력은 아이의 사회적 자존감을 세우는 큰 디딤돌이 됩니다.

“우리 아이, 오늘 누구랑 놀았는지보다, 어떻게 느꼈는지를 먼저 물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