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이와부모함께성장

7살 아이 훈육법, 감정 폭발 전에 하는 말

by 슬기로운아빠생활 2025. 5. 12.

“또 시작이야...” 오늘도 7살 아이가 식탁에서 갑자기 짜증을 내며 숟가락을 집어던졌습니다.

분명히 어제는 조용히 밥을 잘 먹었는데, 갑자기 왜 이럴까요?

 

어느새 나도 모르게, 목소리가 커집니다.

이런 하루가 반복될 때, 부모는 지칩니다. “이건 훈육을 잘 못해서일까, 아니면 아이의 감정 문제일까?”

 

정답은 없습니다.

하지만 분명한 건, 감정 폭발이 일어나기 전에 부모가 어떤 말을 하느냐가 훈육의 핵심이라는 것입니다.

 

7살 아이 훈육법, 감정 폭발 전에 하는 말


왜 7살은 특별한가요?

7살 아이 훈육법, 감정 폭발 전에 하는 말

 

7살은 아이가 ‘자기 주도권’을 강하게 느끼기 시작하는 시기입니다.

말로 자기 감정을 표현하려는 욕구는 크지만, 정서 조절 능력은 아직 미숙합니다.

 

그래서 “싫어!”, “하기 싫어!”, “왜 맨날 나만 그래?” 같은 말들이 터져 나오는 거죠.

이럴 때 감정적으로 대응하면 갈등은 폭발합니다. “감정 이전에 말이 먼저, 말 이전에 공감이 먼저”입니다.


감정 폭발 전, 부모가 해줘야 할 5가지 말

7살 아이 훈육법, 감정 폭발 전에 하는 말

 

1. “이 상황이 싫은 거구나”

아이는 감정을 표현할 단어가 부족합니다. “밥 먹기 싫어!”라고 말하지만, 사실은 “놀다가 끊겨서 짜증나”일 수도 있죠. 부모가 감정을 대신 언어로 정리해 주면, 아이는 위로받는 기분을 느낍니다.

2. “엄마(아빠)는 지금 도와주고 싶어”

아이는 훈육 상황에서도 ‘편이 되어주는 느낌’을 원합니다. 명령보다 **협력의 메시지**가 필요해요. 이 한 마디로 아이는 자신이 버림받지 않았다는 안정감을 얻습니다.

3. “지금 어떤 기분인지 말해줄래?”

감정에 집중을 유도하는 질문입니다. 부모가 감정을 듣고 싶어 한다는 메시지는 아이에게 **존중감**을 전달합니다. 때로는 이 질문 하나로 갈등이 사라지기도 해요.

4. “괜찮아, 다시 말해보자”

아이가 욱하는 말을 했다면 바로 다그치기보다는 기회를 주세요. ‘다시 말할 수 있는 기회’는 훈육보다 강력한 성장의 순간입니다.

5. “엄마(아빠)도 조금 힘들어”

이건 감정의 수평화입니다. 부모도 감정을 느끼는 존재라는 걸 보여주면, 아이는 자신만 나쁜 게 아니라는 걸 깨닫습니다. 단, 짜증이 아닌 차분한 고백 형태로 전달해야 합니다.


감정 폭발이 일어난 후에는 어떻게 해야 할까?

훈육 상황에서 아이가 이미 울고, 소리치고, 문을 쾅 닫았다면 그 후의 회복이 더 중요합니다.

✔ 회복 대화 루틴 3단계

  1. 진정 후, 물리적 거리 좁히기: 가까이 가서 눈높이 맞추기
  2. 공감 확인: “아까 힘들었지?”, “화났던 이유 말해볼래?”
  3. 다음 기회 약속: “다음엔 어떻게 해볼까? 같이 정해보자”

7살 아이 훈육법에서 가장 중요한 것

아이를 바꾸려는 훈육이 아니라, 관계를 지키는 대화가 우선입니다.

때로는 아이가 잘못한 것이 아니라, 그 상황을 감당할 힘이 부족했을 수도 있습니다.

 

훈육의 본질은 ‘가르침’이 아니라 ‘함께하는 성장’입니다.

부모가 먼저 감정을 조절하고, 감정 위에 말을 얹어주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오늘부터 이렇게 해보세요

  • 📌 말 안 듣는 순간엔, “이 상황이 싫은 거구나”라고 말해보세요.
  • 📌 큰소리가 나기 전에, “엄마는 지금 도와주고 싶어”라고 말해보세요.
  • 📌 훈육 후엔 반드시 “괜찮아, 우리 다시 이야기하자”로 마무리하세요.

아이는 훈육을 통해 세상을 배우고, 부모는 훈육을 통해 아이의 세계를 이해하게 됩니다.

“감정 폭발 전의 한 마디가, 아이를 지키고 나를 살립니다.”